내용
이 책은 ‘아동관찰의 이해’ ‘아동행동의 이해’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실제’의 3부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다.제1부에서는 관찰의 목적과 필요성을 논의하고 관찰의 절차에서는 관찰자료를 분석한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도왔으며 이에 더해 관찰자료를 기록·추론·평가해 보는 실제를 경험해 보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다양한 관찰방법을 실제적 관찰 예시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제2부에서는 아동행동의 이해를 위하여 행동이란 무엇이고 그 행동의 원인이 무엇인지, 아동행동의 유형은 어떤 것인지 이론적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아동행동의 이해를 위한 평가 및 검사에 대한 내용을 함께 담고 있다. 교사가 검사를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정확한 아동평가를 위한 검사의 실제를 배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심리검사 현장에서 종합심리검사(full battery)로 사용되고 있는 검사들 위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영유아의 발달이해를 위한 검사도 함께 제시하였다.제3부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4차 표준보육과정의 변화 양상에 맞추어 놀이에 중점을 둔 평가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 누리과정 평가, 표준보육과정 평가에 있어서 실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에 중점을 둔 관찰과 평가 내용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지면을 통한 내용 수록에 어려움이 있어 QR코드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관찰과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볼 수 있다. 더불어 제3부에서는 이러한 관찰과 평가 내용이 부모의 면담에 사용되도록 부모면담 내용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