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장애아동들의 발달, 행동, 학습을 평가하는 특수교육평가와 장애로 인해 야기되는 발달문제, 행동문제, 학습문제의 중재전략을 연구하는 특수교육연구에서 자료수집방법으로 관찰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분야에서 출간된 관찰관련서는 찾아보기 어려워 특수교육의 평가와 연구에서 참고할 수 있는 관찰관련서의 출간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관찰(Observ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이라는 제목으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이 책은 구성상 ‘개관’, ‘관찰의 기록방법: 유형’, ‘관찰의 적용’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제1부 ‘개관’에서는 먼저 관찰의 기초를 관찰의 개념, 기록방법, 분류, 타당도와 신뢰도, 오류, 절차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그다음 관찰이 특수교육평가 및 특수교육연구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2부 ‘관찰의 기록방법: 유형’에서는 관찰의 기록방법을 기본유형과 특수유형으로 나누어 각 기록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고 관찰지 양식과 작성된 예를 제시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관찰자간 신뢰도를 산출하는 예도 제공하였다. 제3부 ‘관찰의 적용’에서는 먼저 발달평가, 행동평가, 학습평가에서 관찰이 어떻게 실시되는지를 설명하고 그 예를 제시하였으며, 그다음 실험연구인 집단설계와 단일대상설계에서 관찰이 어떻게 실시되는지를 설명하고 그 예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 책의 구성과 내용을 고려할 때, 대부분의 책이 앞부분에서 뒷부분으로의 논리적 흐름을 가지고 있지만, 이 책의 경우 특히 논리적 연계가 강하므로 제2부에 앞서 제1부를 그리고 제3부에 앞서 제1부와 제2부를 먼저 읽을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