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디지털 시대 PR의 정의 및 역할, 어떻게 다른가?
1. PR이란
2. PR 유사 개념
3.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
4. 디지털 시대 PR의 역할
제2장 PR,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
1. PR의 역사
2. 한국 PR의 역사
3. PR의 진화
4. 결어
제3장 PR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 PR의 기능
2. PR의 기획 구조
3. PR의 윤리적 고려
제4장 공중은 누구인가?
1. 공중이란 누구인가?
2. 공중유형의 분류
3. 디지털 환경에서의 온라인 공중
4. 결론
제5장 CSR은 기업의 명성 관리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1. 기업 명성
2. 기업 명성 관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3. 기업 명성 관리로서의 CSR
제6장 이슈, 쟁점 진화인가? 관리인가?
1. 이슈의 정의 및 특징
2. 이슈의 발전
3. 이슈 관리의 정의
4. 이슈 관리 전략 및 단계
5. 이슈 관리의 가치
제7장 위기는 예측할 수 있는가?
1. 위기와 위기관리
2. 위기 대응의 전략: 이론적 접근
3. 디지털 시대의 위기관리와 소통
4. 통합적 접근: 위기, 응급, 위험 커뮤니케이션
5. 결론
제8장 디지털 시대, 언론관계는 최선의 PR인가?
1. 언론관계 개념
2. 언론관계와 PR 산업의 성장
3. PR 커뮤니케이션과 언론관계
4. 언론관계 활동과 뉴스
5. 보도자료
6. 결론
제9장 사내 커뮤니케이션, 왜 조직에게 중요한가?
1.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유형
2.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3. 사내 커뮤니케이션 담당부서
4.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전환
제10장 마케팅PR(MPR), 마케팅의 시대적 요청인가?
1. MPR의 정의와 개념
2. IMC와 MPR, BPR
3. 전략으로서의 MPR
4. 전술로서의 MPR
5. MPR 효과 측정
제11장 지역사회, 어떻게 조직의 선택된 이웃이 되는가?
1. 지역사회관계관리(공동체관계관리) 활동의 정의와 개요
2. 지역사회관계관리(공동체관계관리) 활동의 핵심
3. 지역사회관계관리(공동체관계관리)의 효과
제12장 공공PR의 주체는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가?
1. 공공PR의 개념
2. 정부의 공공PR
3. 기업의 공공PR
4. 공공PR의 과제
제13장 SNS는 왜 PR활동의 필수가 되어 가나?
1. 서론
2.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SNS의 특징
3. SNS와 조직-공중관계성 관리
4. SNS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5. SNS와 위기 커뮤니케이션
6. 결론
제14장 문화콘텐츠는 어떻게 PR을 완성시키는가?
1. 문화콘텐츠와 PR
2. 홍보대사와 PR
3. 스폰서십과 PR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