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머지않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며 일부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도달하였다. 보다 주목할 점은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 초고령사회로의 진입 속도가 여타 서구 국가들에 비하여 매우 빠르다는 것이다.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미래 복지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고급 인재의 활약이 간절히 필요한 시점이다.이 책은 정상적인 노화와 병리적인 노화가 어떻게 구분되는지, 노화나 병리가 노인의 의사소통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전반적인 저변을 제공하면서도 말-언어의 각 구성 요소들이 노화에 어떻게 적응하고 변화하는지에 관한 세부 사항들을 다루고 있다. 역자들은 이 책을 번역하면서 부드럽게 극복하고 지혜롭게 순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노년의 삶을 통해 노년기는 불안과 고민의 시기가 아니라 평생 일군 인생의 순간들을 통해 개인적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는 축복된 시간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하여 우리보다 앞서 걸어간 예술가, 철학자, 현자 그리고 삶의 선구자인 그들을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