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심리도식치료는 치료실에 등장하는 내담자의 자기패배적인 생활 패턴 속의 잘 사라지지 않는 이야기를 평가하고 부적응적 양식과 자기패배적 패턴을 세심하게 다루는 증거기반 접근법입니다(Young, Klosko, & Weishaar, 2003). 심리도식치료는 다양한 치료 작업의 통합 전략을 통해 기억과 감각 체계에 상주하는 초기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들과 기질로 인해 만들어진 편향된 신념과 정서들을 효과적으로 치유하고 재조직화할 수 있으며, 이를 교정적이고 적응적인 정서 경험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심리치료자인 독자들이 먼저 심리도식치료의 개념적 모형을 이해하고, 치료적 관점에서 자신을 대상으로 하여 자신의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입과정(유대감과 안전 설정하기-자신의 확인된 문제 이해하기-변화 계획 세우기-변화 시작하기-변화 작업하기-변화를 유지하고 강화하기)을 자신에게 적용하도록 하는 심리도식치료 워크북입니다. 특히 이 책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심리도식치료 개입의 핵심인 심리도식과 심리도식양식을 확인하고 이를 변화시키는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독자들은 이러한 내담자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내담자들에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