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아동을 보호하고 교육하는 모든 기관의 교사 및 예비교사를 비롯하여 아동을 상담하고 발달을 진단하는 전문가, 부모들에게도 아동관찰 및 행동 연구의 필요성과 발달영역별 검사 도구와 방법을 제시하여 실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이론과 실제를 모두 다루었다. 특히 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교사 및 예비교사가 민감한 관찰자가 되어서 도움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도움을 주고자 했다.
총 6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기초로,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에 대한 이해 부분이다. 제2부는 아동관찰 및 행동 연구의 유형 부분으로 관찰연구, 실험연구, 조사 연구, 사례연구, 포트폴리오 평가와 발달영역별 검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발달영역별 검사에서는 아동이 정상적인 발달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아동검사의 실행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검사들에 대해 살펴보고, 검사를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본다. 제3부는 아동행동연구 방법의 이해 부분으로 아동연구의 절차와 사례에 대 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부는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아동 관찰 유형의 실제 부분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과 일과운영 및 아동관찰 그리고 학부모 면담으로 구성하였다. 제5부는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실제편으로 연령별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평가는 현장에서 아동을 보육하는 교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 이다. 마지막 제6부는 행동수정이론에 대한 부분으로 행동수정이론과 행동수정 기법으로 구성하였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수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행동수정 기법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며, 행동주의 이론이 탄생하기까지의 대표 학자들의 이론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행동수정의 정의와 실행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행동수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탐구해 본다. 또한 바람직한 행동은 증가시키고 문제행동은 감소 혹은 제거시키며 그에 따른 대체행동 을 발달시키고 촉진시키는 구체적인 행동수정 기법을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