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이 노인복지의 입문서이자 개론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자들이 책을 쓰면서 고려했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을 위해 쉽고 흥미롭게 저술하고자 하였다. 둘째, 노인복지에 관한 새로운 이슈를 포괄하여 이 책을 통해 노인복지 전반에 대한 윤곽을 그릴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셋째, 노인복지 실천에 초점을 두어 현장 중심적인 책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넷째, 모든 통계자료는 최대한 현 시점에서 가까운 최근 자료를 구하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노인복지 및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융합 학문적 시대에 맞추어 노인과 관련된 의료, 보건, 고령친화산업 등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총 3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인구고령화와 노인의 이해에서는 제1장 인구고령화와 노인문제, 제2장 노인과 노화에 대해 다루었다. 제2부 노인복지의 실제에서는 제3장 노인소득보장, 제4장 노인건강보장, 제5장 노인주거보장, 제6장 노인복지서비스, 제7장 노인상담과 사례관리에 대해 다루었다. 제3부 노인과 관련한 주요 이슈에서는 제8장 노인과 치매, 제9장 노인과 여가, 제10장 노인과 성, 제11장 노인과 죽음, 제12장 노인학대, 제13장 고령친화산업에 대해 다루었다. 또한 이 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학지사 홈페이지에 「고령친화사업 진흥법」 「고령친화사업 진흥법 시행령」 「기초연금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주거급여법」 「치매관리법」의 법령 내용을 제공하니 참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