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과거 우리 사회는 청빈을 숭앙하고 정신적 지주를 존경하는 가치관이 우리 삶을 지배하고 내재화되어 왔다. 이를 본보기로 많은 사람은 건전하고 건강한 삶의 목표를 세워 놓고, 진정한 인간으로서의 삶은 무엇인가를 고민하며 의미 있는 삶, 가치 있는 삶을 지향해 왔다. 이제는 더 이상 그러한 대상이 없는 아노미적 혼란 속에 매몰되어 목표 부재 상태로 하루하루를 연명하며 살아가는 모습이 너무나 개탄스럽다. 참으로 지금은 무엇이 옳은 삶인지, 진정한 삶이 무엇인지, 도무지 가치판단이 서지 않는 혼돈의 세계에 살고 있어 서글프다.
이 책은 이러한 아노미적 사회 상황 속에서 나오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 가장 크게 손본 것은 ‘3장 사회학자’ 중 마르크스 부문과 ‘13장 사회복지제도’ 부문으로, 이곳에서 많은 내용이 추가되거나 수정·보완되었다. 또한 여전히 발견되는 오탈자는 물론, 표현상 어색하고 모호한 문장이나 문구를 수정하였으며, 특히 기존에 수록된 통계치를 가능한 한 최신 통계치로 대체하였다. 더불어 최근에 출간되고 있는 관련 서적들을 읽고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는 책들을 참고문헌에 추가하였다.
• 1장에서는 사회학의 태동 배경 도표를 좀 더 상세히 수정·보완하였다.
• 3장의 마르크스 부문에서는 마르크스의 역사발전 5단계에 대한 도표를 추가하였고, 물질적 토대와 그에 따라 조건지어지는 상부구조에 대한 도표를 제시하였으며, 변증법과 관련된 도표를 알기 쉽게 제시하였다.
• 4장에서는 전체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 주는 도입글(preview) 부문에 연구방법론의 핵심인 과학적 방법(scientific method)에 관한 도표를 추가하였다.
• 6장에서는 ‘자아’ 부문 중 프로이트의 자아 심적 체계와 관련된 도표를 좀 더 세밀하게 수정·보완하였다.
• 7장에서는 특히 한류 부문에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최신 통계치를 제시하였고, K-Pop 관련 삽화나 사진을 새로 추가하였다.
• 8장에서는 현대가족의 문제 부문에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졸혼(卒婚)에 대해서, 이혼의 원인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언급하였고, 결혼과 관련된 부문에서는 미국(캘리포니아주)의 「결혼준비 유지법」에 관한 예를 새롭게 추가하였다.
• 10장에서는 도입글 부문을 수정·보완하였으며, 저출산·고령화 관련 도표의 수치를 최근 것으로 수정·보완하였다.
• 12장에서는 도입글 부문을 수정·보완하였다.
• 13장에서는 도입글 부문을 대폭 수정·보완하였고, 본문 내용 중 사회보장제도(사회보장의 범주) 부문에는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사회수당과 사회서비스에 관한 내용을 새로 추가하였으며, 사회보험 및 공공부조에 관한 내용을 알기 쉽게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 사회복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데이터, 즉 GDP 대비 각국 사회복지지출 통계치도 최근의 OECD 자료를 인용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또한 부록 I에는 한국과 핀란드 중산층 직장인의 가계부를 비교하여 한국의 복지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사회보장제도가 왜 필요한지를 실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 14장에서는 도입글 부문에 조선시대 계층구조 도표를 삽입하였으며, 계층체제의 유형에서 인도의 카스트제도 관련 도표를 좀 더 상세히 수정·보완하였다.
• 17장에서는 다문화와 관련된 도표들의 통계치를 최근 것으로 대폭 수정·보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