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교육연구의 개념, 절차, 연구방법 그리고 논문 작성에 대한 내용을 7부 20장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1부는 ‘교육과 연구’로, 제1장에서는 과학과 연구에 대한 정의와 양자 간의 관계를, 제2장에서는 교육연구의 정의, 종류, 절차를 설명하였다. 제2부 ‘교육연구 주제 및 대상’은 연구를 진행하는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제3장에서는 연구문제 선정방법, 제4장에서는 연구계획서 작성방법, 제5장에서는 연구계획서 및 연구보고서의 이론적 배경 작성을 위한 문헌연구방법, 제6장에서는 연구대상 추출방법을 설명하였다. 제3부는 ‘측정 및 검사’로서, 제7장에서는 추출된 연구대상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 제8장에서는 타당도와 신뢰도, 제9장에서는 표준화 검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4부와 제5부에서는 각각 ‘양적 교육연구방법’과 ‘질적 교육연구방법’을 다루었다. 제4부의 ‘양적 교육연구방법’에서는 제10장에서 조사연구를, 제11장에서 실험연구를, 제12장에서는 관찰연구를 설명하였고, 제5부 ‘질적 교육연구방법’에서는 제13장에서 문화기술적 연구를, 제14장에서 역사연구를 설명하였다. 제6부 ‘통계와 자료분석’은 연구가 종료되어 가는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제15장에서는 통계의 기본개념을, 제16장에서는 집단비교를 위한 통계방법을, 제17장에서는 인과관계분석을 위한 통계방법을 소개하였고, 제18장에서는 자료를 입력하는 절차와 방법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제7부는 ‘연구보고서 작성 및 평가’로, 제19장에서는 연구보고서 작성방법을 설명하였고, 제20장에서는 APA(2019)에서 출간한 논문 집필 지침을 참고하여 논문의 편집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였다. 제21장에서는 연구가 끝난 다음 논문을 평가하는 방법과 논문을 발표하는 요령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APA의 Publication manual이 2019년 개정 7판이 출간되었고, 참고자료로 사용하는 여러 현황이 변화되었으며, 2018년에 무료로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jamovi 프로그램이 등장하여 이번 5판에서는 이를 소개하고 싶었다. 자료를 직접 분석할 수 있은 연구자들이 통계프로그램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고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다면 매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