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한국에서 근대적 광고가 시작된 지 130년이 넘는다. 그동안 국내 광고는 급성장을 하여 산업 규모가 세계 선진국 수준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한국의 광고산업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성장해 왔으며 구조적 특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한국 광고산업을 구성하는 제 단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광고 제도의 특성은 무엇인가 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실 한국의 광고산업 구조와 광고제도는 다른 나라와는 다른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한국 광고산업의 성장을 도모하는 지름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획한 『한국의 광고산업과 광고제도』는 광고산업의 구조와 특성, 미국·일본 등이 한국의 광고산업에 미친 영향, 영상광고의 제작 역사, 미디어렙과 정부광고의 변천, 광고 관련 단체들의 현황과 기능, 광고 심의 및 규제의 현황과 제 문제, 북한의 광고산업 현황, 광고시장 개방과 다국적 광고회사 등 국내 광고산업과 광고제도 전반에 대해 10명의 전문가가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근대적 광고가 처음 시작된 시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광고산업의 구조와 제도 변화과정을 상세히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광고산업의 구조와 제도적 특성 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책은 광고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함께 조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크다고 하겠다. 특히 북한의 광고산업을 이해할 수 있는 장을 담았다는 것은 이 책이 얼마나 미래 지향적인지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최첨단 광고 기술이 지배하는 시대에 산업 구조나 제도를 논한다는 것 자체가 구시대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산업 구조나 제도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최첨단 디지털 기술은 사상누각에 불과할 수 있다. 광고의 산업적 위상을 바로 세우고 제도를 바로잡을 때 비로소 최첨단 기술도 빛을 발할 수 있는 것이다.
모쪼록 『한국의 광고산업과 광고제도』가 광고 실무진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광고를 전공하는 학자나 학생들에게도 풍부한 지식을 심어 주는 자양분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