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을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1부 기본 개념은 1장 교육평가 유형, 2장 척도와 표집, 3장 기술통계로 나뉜다. 1장의 교육평가 유형에서는 학생평가 중 형성평가에 초점을 맞추며 평가 종류를 개괄하였다. 2장과 3장에서는 뒤에 이어지는 규준/준거참조평가, 문항분석, 신뢰도·타당도·객관도 등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통계 개념들을 담았다. 2부 학생평가의 현장 적용은 4장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5장 정의적 영역의 평가, 6장 수행평가로 구성된다. 이 책의 내용이 모두 학생평가를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 부분에서 현장의 관심사를 특별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4장 준거참조평가는 중등학교에서 적용·시행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며, 5장 정의적 영역의 평가와 6장 수행평가는 과정중심평가, 자유학기제와 같은 교육 현장에서의 화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여 같이 묶었다. 3부 문항과 검사는 7장 문항의 종류와 특징, 8장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로 구성되고, 4부 신뢰도, 객관도, 타당도는 각각 9, 10, 11장에서 다루었다. 12장 연구계획서 쓰기와 13장 연구윤리 및 논문인용방법으로 구성된 5부 연구계획서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연구하는 교사 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위하여 추가하였다. 미래시대의 교사는 단순히 지식전달자로서의 역할에 그치지 말고 능동적으로 지식을 창출해 내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부록에 Shepard(2000)를 인용하며 구성주의 학습이론 관점에서 학생평가에 기본이 되는 교육과정·수업·평가 이론을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교육과정 개혁 시대에 교사에게 기대되는 역할을 요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