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공공 및 민간 영역의 서비스 전달체계에서 재활상담사의 책임성이 커짐에 따라 상담 및 사례관리 주요 기술에 대한 최신의 설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여러 재활환경의 공통적인 과정에 초점을 두고, 특히 진단, 정보처리, 계획, 서비스조정, 프로그램점검, 직업배치, 편의제공계획, 다문화상담, 사례량관리의 일반적 기술을 다룬다. 또한 상담과 사례관리 전략들을 주로 공공 재활프로그램의 요구와 관련지어 설명하지만 다양한 상담과 사례관리 장면에서도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직업재활사가 ‘장애인직업재활상담사’라는 국가자격으로 거듭나고 있는 지금, 직업재활상담사가 무엇을,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상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직업 전 교육부터 취업, 심지어 사후지도까지, 직업재활사와 다름없는 역할을 해야 하는 중등특수교사에게도 똑같이 유용하다. 그리고 취업과 퇴직을 반복하는 장애내담자들을 내내 보듬으며, 지치지 않고 사례관리를 해야 하는 사회복지사에게는 더 중요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