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출생에서 3세까지의 의사소통발달과 이 시기에 경험할 수 있는 의사소통 장애의 발달, 평가, 중재를 주요 내용으로 다루었다. 책의 구성은 크게 제1부 영유아 의사소통장애와 영유아 발달, 제2부 영유아 의사소통 장애 평가 및 중재로 하였다. 제1부는 총 7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는데, 제1장부터 제3장까지는 의사소통장애의 개념과 영유아기 의사소통 발달과 장애를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발달의 기초 개념들 그리고 의사소통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장애 위험요인과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영유아기 의사소통장애의 정의는 언어병리학 분야에서 정의하는 개념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같은 관련법이나 인접 분야에서의 장애 정의를 포함하여 학문적으로는 물론 실제적으로도 의미 있는 개념 정의가 되도록 고려하였다. 제4장부터 제7장까지는 의사소통발달과 더불어 신체운동, 인지, 사회정서 등 각 영역별 발달을 별도의 장으로 소개하였다.
제2부는 총 6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8장부터 제10장까지는 의사소통 평가에 대한 내용을 그리고 제11장부터 제13장까지는 의사소통 중재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였다. 의사소통 평가에서는 먼저 제8장에서 평가의 개념을 토대로 평가를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 평가 과정과 협력적 팀 접근을 소개하였으며, 제9장에서 평가 방법으로서 표준화된 검사를 활용한 평가와 관찰을 통한 평가 방법 그리고 대안적 평가 방법으로서 놀이기반 평가나 일과기반 평가, 참 평가, 역동적 평가 등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10장에서 영유아기 의사소통 평가에 포함해야 하는 영역들과 각 영역별 평가 실제를 소개하였다. 의사소통 중재 부분에서는 먼저 제11장에서 조기중재 원칙과 서비스전달모형, 의사소통 중재 계획 및 협력적 접근을 통한 중재 등 기본적인 내용을 개관하였으며, 제12장에서는 직접적 중재 접근법, 반응적 중재 접근법, 혼합 중재 접근법 그리고 가족참여 및 부모개입을 통한 의사소통 중재법을 중심으로 중재 접근 방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13장에 서는 의사소통발달 단계를 기반으로 하는 영유아 의사소통 중재에서 다루어야 할 중재 내용과 각 단계별로 중재 목표 및 방법을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