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지난 50년 동안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과제들과 발달과정에서 논의되어 왔던 이론과 패러다임 그리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특성과 교육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다루었다. 이를 통해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이 책은 기존에 출간된 『교육사회학의 통합적 이해』를 개정·보완하였으며 최신 자료들을 보강하여 재집필하였다.
이 책은 총 4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사회적 특성과 우리나라 교육의 구조적 이해 그리고 학교현장의 학교폭력과 체벌문제 등을 다루었으며, 제2부에서는 교육사회학의 본질과 패러다임을 다루면서 기존의 기능주의와 갈등이론은 물론 신교육사회학 이론과 재생산 이론 그리고 교육사회학의 새로운 동향을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교육과 사회의 관계에서 중요한 교육의 기능과 사회적 과정을 논의하고 있는데, 교육의 사회적 기능, 사회화, 사회변동, 사회계층, 문화와 교육, 산업구조 변화와 교육의 현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와 환경오염, 양극화 등의 사회변화와 우리가 안고 있는 사회적 과제를 다루면서 ‘저발전이론’을 이 책에서 유일하게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 제4부에서는 사회체제로서의 학교교육론, 교육 기회균등과 개인차, 교사와 교수 등에 관한 교육적 과제들을 다루었다. 특히 교육 기회균등과 개인차를 논의하는 제15장에서는 능력주의와 불평등 관점에서 개인차를 논의하면서 지금도 논쟁이 되고 있는 교육에서의 평등주의와 능력주의의 관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