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제1부 통합교육의 이해
제1장 통합교육의 기본개념 및 현황
1. 통합교육의 개념
2.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3.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의 개관
4. 통합교육의 효과
5. 통합교육의 과제와 전망
제2장 통합교육의 역사적 개관
1. 서양의 장애인 교육사
2. 우리나라의 장애인 교육사
제2부 특수교육대상자의 이해
제3장 신체 및 건강장애를 가진 특수교육대상자의 이해
1. 시각장애
2. 청각장애
3. 지체장애
4. 건강장애
제4장 인지 및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특수교육대상자의 이해
1. 지적장애
2. 학습장애
3. 의사소통장애
제5장 사회·정서장애 및 기타 특수교육대상자의 이해
1. 정서·행동장애
2. 자폐성장애
3. 발달지체
4. 영재
제3부 통합교육 실행Ⅰ: 행정적 지원
제6장 특수교육대상자의 선별, 진단 및 배치 과정
1. 특수교육대상자의 선별, 진단 및 배치의 개념
2. 특수교육대상자의 선별, 진단 및 배치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3. 특수교육대상자의 선별, 진단 및 배치의 추진 과정
제7장 개별화교육계획의 이해
1. 개별화교육계획의 개념 이해
2.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역할
3. 개별화교육계획의 법적 근거
4. 개별화교육계획의 수립
제4부 통합교육 실행 II : 교육적 지원
제8장 통합학급에서의 학습 지원
1. 장애학생의 학습 특성과 실천적 교수 방안
2.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3.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4. 통합학급에서의 증거기반 교수-학습 전략
5.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 평가 지원
제9장 통합학급에서의 사회적 관계 지원
1. 사회적 관계 지원의 중요성
2.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사회적 통합 지원
3. 장애학생과 일반 학생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
제10장 통합학급에서의 문제행동 지원
1. 문제행동 지원의 중요성
2. 행동 발생의 기본 원리
3.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천
제5부 통합교육의 전망
제11장 학교전문가, 학부모, 보조인력 간 공동협력
1. 협력의 개념 및 필수요소
2.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관계
3. 결론
제12장 보조공학과 보편적 설계
1. 보조공학의 개념
2.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보조공학
3. 보편적 설계
4. 보편적 설계의 적용사례: 보편적 학습설계
5. 결론
제13장 진로·직업교육 현황 및 전환교육
1. 진로·직업교육의 의의 및 목적
2. 초·중등학교 진로교육의 목
3. 한국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4. 세계의 진로·직업교육 현황
5. 진로·직업교육의 정의 및 전환교육의 개념
6. 전환교육의 단계: 개별화전환계획 중심으로
7.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취업과정
8. 한국 진로·직업교육의 발전 방향
9. 결론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