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편집자 서문
베셀 A. 반데르 콜크 의학박사의 글
저자 서문
PART 1 이 론
01 위계적 정보처리: 인지적 차원, 감정적 차원, 감각운동적 차원
삼위일체의 뇌 • 정보처리의 차원과 몸 • 인지적 처리 • 감정적 처리
감각운동적 처리 • 인지적·감정적·감각운동적 행위 경향성
하향식 처리와 상향식 처리 간의 접점 • 결론
02 인내의 창: 각성 조절 능력
인내의 창의 다양한 형태 • 다미주신경의 위계
트라우마가 각성과 인내의 창에 미치는 영향 • 해리와 각성의 영역들
치료와 연관된 쟁점들 • 결론
03 애착: 양자적 조절에서의 몸의 역할
애착과 자기조절과 상호작용 • 변화하는 몸과 몸의 대화 • 긍정적 정동의 조절
애착 패턴과 몸 • 안정 애착 • 불안정 애착 • 와해 혼돈 애착
애착 패턴들과 자기조절 • 안정적 애착과 조절 _ 100•불안정 회피 애착과 조절
불안정 양가 애착과 조절 • 와해 혼돈 애착과 조절 • 감각 운동 치료
불안정 회피 애착의 치료 • 불안정 양가 애착의 치료
미해결된 와해 혼돈 애착 치료 • 결론
04 정향 반응: 의식의 범위를 좁히기
외현적 정향과 내현적 정향 • 의식의 영역 • 정향 반사 반응 • 하향식 정향
탐색적 정향 • 정향과 주의 • 신념이 정향과 주의에 미치는 영향
정향과 반응의 단계들 • 정향 경향성과 주의, 그리고 미해결의 트라우마
05 하부 방어 체계: 동적 반응과 부동적 반응
방어 반응의 재활성화 • 방어 반응의 구성 요소
관계형 방어 전략: 사회적 연결과 애착 • 동적 방어 • 부동적 방어
트라우마화의 부동적 하부 체계 • 방어 반응의 단계
불완전하거나 비효율적인 방어 반응 • 결론
06 적응: 행위 체계 및 경향성의 역할
여덟 가지 행위 체계 • 방어 행위 체계 • 애착 행위 체계
탐험 행위 체계 • 에너지 조절 행위 체계 • 돌봄 행위 체계
사회성 행위 체계 • 놀이 행위 체계 • 성 행위 체계
행위 체계들 간의 위계적 상호 작용 • 방어 행위 체계의 과활성화
행위 체계와 경향성 • 결과 예측 • 행위 체계와 행위 경향성, 그리고 몸
행위 경향성의 수준 • 행위 체계와 해리 • 결론
07 심리적 트라우마와 뇌: 신경생물학적 치료 모델
트라우마, 정보처리의 다양한 수준, 삼위일체의 뇌 • 시상 • 트라우마와 편측화
PTSD와 신경의 관련성 • 편도체 • 내측 전전두엽피질 • 전측 대상회
해마 • 뇌섬엽 • 안와전두피질 • 감정과 피질하부 과정의 중요성
트라우마를 떠올리게 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반응 • 반응의 다양성: 사례 • 결론
PART 2 치료의 실제
08 치료의 원리: 이론의 적용
상향식 개입과 하향식 개입 • 현재 순간
탐색의 시작: 현재의 마음챙김, 순간의 경험 조직화
사회적 관여: 치료적 협력 관계 형성하기 • 놀이 행위 체계를 활용하기
정향 경향성의 변화 • 소매틱 전이와 역전이에 대한 간략한 소개
통합 능력과 몸 • 단계 중심 치료 •치료의 세 단계에서 몸을 사용하는 방식
결론
09 경험의 조직화: 현재 순간에 몸과 작업하는 기술
트래킹과 신체를 읽는 것 • 접촉 진술 • 마음챙김 • 실험과 탐색
기술을 함께 활용하기 • 자원을 통합하기 • 현재 경험의 조직체를 구별하기
핵심 조직체들을 연결하기 • 심리치료에서의 몸 접촉 개입 • 결론
10 1단계 치료: 안정화를 위한 소매틱 자원 개발하기
소매틱 자원 • 소매틱 탐색을 위한 안전감 만들기 • 자신감과 기쁨의 경험
소매틱 자원을 구축하는 실험 • 심리생리적 상호작용 조절자로서의 치료자
저각성 및 과각성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업하기 • 진자 기법
내부 수용 감각 자각: 신체 감각 • 신체 감각에 대한 인식과 언어화
감정 및 인지와 신체 감각을 구분하기 • 감각의 증가 • 소매틱 자원 지도
자동 조절과 상호작용 조절: 몸의 중심부와 주변부 • 자동 조절을 위한 핵심 자원
상호작용 조절을 위한 주변부 자원 • 중심부와 주변부의 사용
통합 능력을 개발하기 • 소매틱 자원의 연습 • 결론
11 2단계 치료: 트라우마 기억의 처리와 승리의 행동 되살리기
트라우마 기억 • 절차 기억 중단시키기 • 기억과 두뇌에 대한 고찰
기억 작업의 기본 개념 • 사회적 참여와 최적 각성 수준 유지하기
정보의 양 제한하기 • 인내의 창 가장자리에서 작업하기 • 자원 작업
트라우마 주변에서 자원을 찾아내기 • 기억 작업을 하면서 새로운 자원을 구축하기
승리의 행위: 동적 방어 • 불수의적으로 승리의 행위 실행하기
‘불수의적인’ 승리의 행위 실행하기: 감각운동의 연속적 과정
과각성과 저각성 작업하기 • 인지적 처리와 감정적 처리 • 결론
12 3단계 치료: 일상에서 경험하는 통합과 성공
의미 만들기: 인지 왜곡 변화시키기 • 중심부와 주변부의 역동적 관계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완료되지 못한 행위 평가하기 • 3단계 치료에서의 행위
행위의 통합으로 친밀감 확장하기 • 적절한 도전: 점증적인 행위
새로운 행위를 탐색하여 일상생활에서의 과제에 맞서기
마음챙김인 팔의 움직임: 변화로 가는 길 • 정신화 능력: 관계에서 적절한 행위
친밀함과 경계: 미묘한 균형 • 적응적인 경계 행위 가르치기: 치료자의 역할
반사적인 행위 경향성과 사교성 • 즐거움과 긍정적인 정서의 인내
즐거움과 행위 체계 • 행위를 완성하는 즐거움 • 즐거움을 위한 개입
결론: 새로운 자기감의 통합 • 에필로그: 비극에서 승리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