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교육사회학은 한국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과 성찰적 이해 그리고 합리적 해결 단서를 제공하며, 교육현실의 사회적 병을 치유하기 위해 노력한다.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사회의 역동적 관계를 분석하는 학문이다. 즉, 교육사회학은 ‘사회 속에서 교육의 잉태를, 교육 속에서 사회의 씨앗’을 찾는다. 교육사회학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교육을, 교육적 맥락 속에서 사회를 밝힌다. 교육사회학은 이론과 실제의 학문이다. 이 책은 교육현실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한국교육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편성되었다. 또한, 교육현실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 심층적 이해를 통해 한국교육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깊이 있는 진단적 혜안을 높이기 위해 저술되었다. 올바른 진단이 치료의 정확성을 도모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론과 실제’의 양 측면을 함께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사회학은 이론에 편중된 경향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론뿐만 아니라 한국교육의 전반적인 실제를 체계화하였으며, 한국교육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이해를 위해 많은 비중을 두었다. 우리의 현실에서 서구의 교육이론은 익숙하지만, 한국교육에 대해 체계적으로 소개된 입문서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한국교육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럽고 중요한 일이다. 개정판을 내면서 특히 한국교육에 대한 이해의 체계성을 높이기 위해 고민하였다. 그동안 미진했던 부분을 수정·보완하면서 ‘고등교육정책의 실제’라는 새로운 장을 추가하였다. 한국의 고등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학문적 관심을 조금이라도 부여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초·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까지 체계화할 수 있었다.
교육사회학의 입문서인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교육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합리적 인식을 도모했으면 한다. 특히 한국교육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성찰적 사고를 높이기 위한 지적 기반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