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총 4부 13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의 이해로, 제1장에서는 영유아 발달이론과 학습주기 및 학습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교수학습주기와 과정에 대한 영아교육의 예화를 첨가하고 발달이론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으며, 학습정리를 위한 예제풀이를 첨부하였다. 제2장에서는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마다 예화를 제시하였다.
제2부는 영유아와 교사 상호작용으로, 제3장에서는 상호작용의 의미와 교사의 발문전략을 살펴보고, 특히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발문을 적용하여 실제 수행해 볼 수 있는 활동을 첨가하였다. 제4장에서는 또래 간 상호작용과 부적응 행동 지도에 대해 소개하였다. 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을 알기 쉽게 재구조화하고, 부적응 행동 지도와 또래 간 갈등 중재 단계에 따라 실제 수행해 볼 수 있는 활동을 첨가하였다.
제3부는 영유아 교수방법으로, 제5장에서는 연간·월간·주간·일일 교육계획 수립 방법을, 제6장에서는 교육계획에 기초하여 교수학습활동을 실행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초판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이해에 대한 내용을 삭제하고 교수 계획과 실행 평가를 보다 단순화하여 제시하였으며, 보육정책과 유보통합평가인증 지표 기준에 따라 내용을 재정비하였고, 그에 따른 실제 수행활동을 첨가하였다.
제4부는 영유아 교수활동의 실제로, 제7장에서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놀이 소개 방법, 놀이 개입과 철회 방법을 비교하여 소개하였다. 특히 영아와 유아의 놀이지도 방법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비교하여 정리하였으므로 연령별 지도 방법의 어려움이 해결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제8장과 제9장은 각각 흥미 영역별 핵심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반영한 영아 자유놀이 교수방법 및 유아 자유선택활동 교수방법을 소개하였다. 제10장과 제11장은 대소집단활동 지도로서 유아반의 다양한 집단활동 운영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8장∼제11장은 초판 내용을 재구조화하고 실제 수행활동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반영된 교육과정의 요소를 분석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12장에서는 영유아 일상생활지도, 그리고 제13장에서는 현장학습 및 행사를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