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장애인들이 성인으로서 경제적인 활동을 통해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직업재활의 필요성은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 재활은 이전의 능력이나 지위, 권리, 명예를 회복하거나 개발하는 것을 의미하며, 직업재활은 이 과정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2008년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은 제10조 고용부문에 차별금지 조항을 두어 “사용자는 모집·채용, 임금 및 복리후생, 교육·배치·승진·전보, 정년·퇴직·해고에 있어 장애인을 차별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서는 직업재활서비스를 “직업생활을 통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고 본인이 가진 능력을 평가받아 평등한 고용기회를 가져 직업에 진출하고, 적정한 고용관리를 통해 장기간 직업유지가 가능하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즉, 장애인의 희망·적성·능력 등에 맞는 직업생활을 할 수 있게 돕는 다양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여 장애인의 자립능력 개발에 직업재활서비스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당사자의 개별 특성과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을 제도적으로 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업재활 과정에 장애인도 직업인으로서의 자각을 가지고 스스로 능력이 향상되도록 노력하여 유능한 직업인으로 자립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하고 있어 현재의 재활 패러다임이 장애인 당사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직업, 사회, 나아가 문화적 측면에서 자립생활 성취에 그 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재활 패러다임에 따라 직업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영역에서 장애인의 진로를 탐색하고 발달을 지원하는 전인적인 재활 전문가 양성과 장애인의 보다 다양해진 개별 욕구에 부응하는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필요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다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춘 직업재활 전문인력이 양성되고, 장애인이 전문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통해 보다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기를 원하는 바람을 담아 이 『장애와 재활』이라는 책을 저술하게 되었다.
이 책의 각 장은 직업재활의 역사와 정의부터 각 과정별 직업재활서비스의 이론뿐 아니라 현장에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줄 사례와 양식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