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직업평가는 단순히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장애인에게 적합한 평가도구 선택과 평가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동과 반응들을 민감하게 관찰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여 장애인에게 최적의 직업과 진로목표와 서비스를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직업평가사는 직업재활과 장애에 대한 전문지식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만 한다. 직업평가 결과는 장애인의 전인적인 재활이라는 인식을 갖고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 그리고 환경적인 측면 모두를 포함하는 해석을 해야만 장애인의 인간으로서의 가치실현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재활의 궁극적인 목표를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산업세계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변화하는 세계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춘 직업평가사 양성과 직업평가도구 개발은 직업재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재활평가』를 저술하게 되었다. 이 책에는 직업평가의 정의와 역사, 평가활동과 평가도구 소개와 현장에서 활용방법까지 담아 직업평가 이론뿐 아니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직업평가사를 양성하고 직업평가를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