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우리나라의 지체장애 학생 교육은 비교적 오래전부터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일반학교에서 교육받는 지체장애 학생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특수학교 재학생 중 장애 정도가 심하고 중복장애를 가진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장애의 정도와 유형이 다양한 지체장애 학생이 특수학급에 오면 특수교사는 일반교사들에게 지체장애 학생의 특성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시키고 일반학급에서의 교육이 의미 있는 통합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육 지원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교사양성과정에서부터 지체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여러 가지 필요를 고려하여 예비 특수교사들이 지체장애 학생 교육에 대해 알아야 할 내용들을 담고자 하였다. 집필과정에서 생각한 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책에서 주로 다루는 교육 대상에 대한 것이다. 현재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다양한 중복장애나 뇌성마비를 가진 경우가 많다. 이 책에서 교육의 주 대상으로 생각하는 학생들도 이러한 중복장애를 가진 뇌병변장애 학생들이다. 또한 ‘건강장애’에 대한 내용도 장애의 성격상 비교적 관련이 높다고 생각되어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포함하였다. 둘째, 지체장애 학생들을 위한 진단과 교육과정 운영 및 교수 방법, 구체적 교과별 지도 전략 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되, 전반적인 의사소통 발달과 의사소통 지도 방법과 함께 설명하였다. 넷째, 운동 발달에 대한 기초 내용과 함께 지체장애 학생들이 보이는 운동장애에 대해 설명하여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사로서 알아야 할 자세지도의 중요성과 지도 방법에 대해 가능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전문가 및 부모와의 협력(제2장)과 지체장애 학생의 전환(제16장)은 지체장애 학생의 교육 현장과 연구 모두에서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영역이지만 향후 반드시 발전되어야 할 중요한 부분이므로 이 교재에 포함하였다.
지체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내용은 암기할 것도 많고 의료적인 부분도 있어서 공부하는 과정이 어렵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수교사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교육 현장에서 준비된 교사로서 학생들을 만나기 위해서 꼭 숙지해야 할 내용이다. 이 책이 예비 특수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지체장애 학생을 만날 준비를 하는 데 좋은 안내서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