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논문을 작성한다는 것은 이론적이든, 방법적이든, 경험적이든 새로운 세계를 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연구자들은 여러 어려움을 접할 수밖에 없고, 특히 초보 연구자들에게는 이 어려움이 정복할 수 없는 큰 산처럼 느껴지기 마련이다. 뭐라고 시작해야 될지 모르는 막막함, 정리가 안 되는 내용들, 예상 밖의 분석 결과, 이해되지 않는 지도 내용, 이로 인한 열등감과 우울감 등으로 논문을 쓰는 내내 고통스러운 시간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러한 초보 연구자들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저자들은 다년간 논문 글쓰기와 연구법 특강을 여러 대학에서 실시해 왔다. 즉, 초보 연구자들이 특강 자료집을 보고, 직접 따라서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특강 자료집에 많은 공을 들였다. 수많은 참고 자료와 함께 실제 논문에 쓰인 데이터를 분석한 내용을 이미지화하여 자료집을 만들었다. 이렇게 특강이 시작된 지 6년이 지났고, 자료집 또한 수정·보완 작업을 거듭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이 책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수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연구방법 자료 중에 상담심리 전공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분야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와 관계연구 중 매개효과의 내용만을 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