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안전은 건강한 삶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건이다. 특히, 위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신체의 미성숙함과 판단능력이 부족한 영유아를 위한 안전은 영유아교육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이다. 최근 들어 우리 사회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생애초기 교육인 영유아기 안전교육이 더욱 더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5년부터 유치원 2급 정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기본 이수과목에 유아안전교육 과목이 포함되었고, 보육교사 2급 자격 취득을 위해서 필수로 이수하도록 지정되었다. 또한 교육부에서는 유아부터 고등학생까지 생활·교통·폭력예방 및 신변보호·약물 및 사이버 중독·재난·직업·응급처치 등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마련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기준을 포함함과 동시에 「아동복지법」, 「영유아보육법」, 「유아교육법」 등 안전 관련 법적 규정,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포함), 통합평가지표 등의 기준에 근거하여 예비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서 실제 반영할 수 있는 내용과 상황을 중심으로 집필하였다.
이 책은 안전사고에 대한 이해, 안전관리, 안전교육, 안전교육의 실제, 안전사고 대처의 5개 주제와 12개의 소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영유아와 안전으로 안전의 의미 및 실태와 아동권리존중을 다루고 있다. 제2장은 영유아기 발달특성과 그에 적절한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다룬다. 제3장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준수해야 할 안전법규와 안전관리 내용을 다루고 제4장은 교육(보육)과정과 통합평가인증지표에서의 안전관리를 소개하고 있다. 제5장과 제6장은 유아교육기관 실내 안전관리와 실외 안전관리를 다루며, 제7장과 제8장은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 내용을 다룬다. 제9장은 영유아 대상 안전교육의 실제 부분으로 안전교육의 원리, 안전교육 접근법, 활동유형을 포함하여 영아 안전교육 실제와 유아 안전교육 실제를 공통으로 또는 구분하여 다루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0장은 교직원·부모 대상 안전교육의 실제를 다루며, 제11장은 상황별 응급처치 실제를 담고 있고, 제12장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사고 처리절차와 법적 책임을 파악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