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학개론’을 배우게 된다. ‘교육학개론’이란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의 학문적 탐구 성과를 개괄적으로 논의하는 과목이다. ‘교육학개론’ 과목에 사용될 교재로 이 책이 만들어졌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교육 기초에 관한 부분이다. 이 책의 제1장에서는 교육, 교사, 교직이 무엇인가를 기초적으로 논의한다. 둘째, 교육의 이론적 차원을 다루는 부분으로 교육이 무엇인가를 여러 가지 학문적 관점에서 밝힌다. 제2장은 한국교육사, 제3장은 서양교육사, 제4장은 교육철학, 제5장은 교육사회학과 평생교육, 제6장은 교육심리학을 다룬다. 이를 통해서 역사학, 철학, 사회학, 심리학을 통해서 교육에 대한 학문적 이해가 다각적으로 깊어진다. 셋째, 교육의 실천적 차원을 다루는 부분으로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와 연관된 다양한 차원을 밝혀 준다. 이 책의 제7장은 학교상담, 제8장은 교육과정, 제9장은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제10장은 교육평가, 제11장은 교육행정학을 다룬다. 이를 통해서 교육에 대한 실천적 기술과 능력이 상담, 교육과정, 방법과 공학, 평가, 행정을 통해서 폭넓게 파악되고 그에 대한 안목이 길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