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유아의 생각과 감정, 행동 등이 흡수되고 체화되도록 내면화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과 기술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이러한 능력과 기술을 잘 길러 줄 수 있을까? 교사가 개념을 보다 명료하게 이해하고 수업계획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 이 책의 관심사다.
이 책은 1부와 2부로 구분되어 있다. 제1부 이론 편에서는 유아의 사회화, 교수-학습 계획 및 적용 그리고 교사의 역할과 지도를 다루었다. 특히 교수-학습 적용에 있어서 가치 개념을 선정하고 활동을 구성하며 어떻게 세분화해 갈 것인가의 절차를 다루었다. 교사의 역할에서는 쌓기놀이영역과 프로젝트에서 친사회적 행동과 협동 활동의 지도방법을 한 예로 다루었다.
제2부 실제 편은 사회적 자원 활용하기와 사회적 기술 접근하기 및 사회적 능력 평가하기를 다루었다. 사회적 자원 활용하기는 현장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도서, 융판, 모래상자, 게임, 신문, 박물관, 민속 문화, 역사적 인물, 초청강사 및 흥미영역을 포함하였다. 현장에서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자원들을 개념 및 의의, 형태와 유형, 유의점 그리고 교수-학습 활용의 예를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은 주제에 적합한 절차를 우선 제시하고 절차에 따른 교수-학습안과 이를 확장 또는 변형할 수 있는 대안적 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말미에 관련 도서를 제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토의해 봅시다>에서는 주요 개념의 적용과 방법을 마무리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