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청각언어 분야 재활은 공학 계열과 달리 사람을 대상으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서비스 수혜자의 인권과 전문가로서 윤리 등에 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고, 예비 및 초보 전문가들은 실제 재활 서비스 참관에 접근하기 어려운 한계에 부닥치게 된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예제를 만들고, 재활 접근 방안과 진전 평가 등을 분석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이 예제들은 청각학적 평가와 재활, 언어병리(언어치료)학적 평가와 재활 서비스로, 특정 문제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할 것이다. 아울러 임상에서 전문가가 학습한 이론과 경험적으로 터득한 재활 서비스 절차를 담고 있어서 학습과 함께 비평적 시각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각 장은 핵심 요약, 병력, 청각학 및 언어병리학적 평가, 예제 해석 방향, 고찰, 남겨진 문제, 참고 및 추천 문헌 등의 순서로 기술하였다.
핵심 요약에서는 예제를 통해서 어떤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것인가를 제시하고, 병력은 가상 예제 대상자가 겪고 있는 문제를 소개한다. 청각학 및 언어병리학적 평가에서는 청각언어재활 서비스 제공에 앞서 시행한 사전 및 사후 평가와 그 결과를 분석하고, 예제 해석 방향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활 방향과 재활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고민해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고찰에서는 예제 해석 방향에 따라 전문가로서의 의견을 제시하면서 시행한 평가와 재활 서비스가 합리적이고 적정하였는가를 고민하며, 남겨진 문제는 이 외에 고려할 수 있는 평가나 재활 방향에 대하여 독자가 제안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여백으로 남겨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