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초판보다 3개장을 늘려 총 4부, 17장으로 구성되었다. 특별히 새로 추가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의 의료사회사업 활동영역을 법률적 근거를 토대로 추가하였고, 3장에서는 의료사회사업실천의 이론적 모델을 보완하였다. 4장에서는 의료사회사업의 대상체계를 자세히 다루었다. 10장에서는 의료급여수급자에 대한 사례관리 시범사업 결과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제15장에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실었다. 21세기에는 우리나라의 의료환경에 많은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환자의 질병치료에만 국한하기보다는 복지에 대한 강조, 문제에 대한 포괄적 접근, 환자를 순종적 수혜자로 보기보다는 파트너로서의 강조 등의 변화가 그것이다. 의료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의료세팅에서 환자와 가족에게 직접서비스의 제공, 상담가, 교육가, 조사자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토탈케어의 정착에 많은 공헌을 할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의료 분야에서의 사회사업 서비스의 주요 목적과 초점을 명확히 제시하고, 어떻게 사회사업의 가치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