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교과교육론’은 새로운 이론을 가르치는 교과가 아니라 배운 이론을 어떻게 실제 수업에 잘 녹여낼 수 있는지를 배워 나가는 교과이다. 즉, 교과가 아닌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유아교육 현장과, 반면에 언어교육, 수학교육, 사회교육 등 교과를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대학교 교사 양성 과정, 이 둘의 연결고리를 찾는 게 ‘유아교과교육론’ 과목이다. 따라서 이 책의 저자들은 ‘여러 교과를 활동에 적절히 담아내는 실제적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이 책을 집필하였다.
이 책은 3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교과교육의 일반적 의미 및 유아교육에서 교과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유아교과교육의 전반적인 계획 및 운영,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교과, 즉 언어ㆍ사회ㆍ음악ㆍ미술ㆍ동작ㆍ수학ㆍ과학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영역별 교육 내용에 따라 제시하고, 각 교육 내용에 따른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타 교과와의 통합 활동의 실제 예를 교과마다 제시하여 교과 통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3장은 각 교과가 ‘생활주제 및 주제’와 ‘활동’을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생활주제 주제망, 주간 교육계획안, 일일 교육계획안, 단위활동 계획안을 순차적으로 작성해 보도록 구성하였다.
최근 들어 대학교육에서는 현장실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편이 한창이다. 즉, 대학에서 배운 지식이 실제 직업 현장에서 잘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관심이 높다. 이 책의 저자들 또한 다년간 대학에서 예비 유아교사들을 교육해 오며 어떻게 하면 양성 과정에서 배운 지식이 실제 현장에 괴리감 없이 잘 연결될 수 있을지 고민해 왔다. 이 책은 그 실천의 첫걸음으로서, 예비 유아교사들이 현장 역량을 더욱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