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진단평가의 개요: 철학적 쟁점 및 일반적 지침
진단과 평가의 정의
평가 개념의 확장
측정을 중시하는 추세
기능 측정의 중요성: 세계보건기구, 미국 교육부, 미국 말언어청각협회
문제의 유무 파악을 위한 진단
문제의 원인 파악을 위한 진단
임상적 조언 제공을 위한 진단
진단: 과학과 예술
진단과 수혜 자격
진단가 요인
대상자-임상가 관계
대상자 요인: 아동, 청소년, 노인
진단 활동
결론 및 자기평가
제2장. 면담
면담의 중요성
면담의 특성
면담을 방해하는 요소
면담 접근법
진단평가 이외의 면담 기술 사용
면담 기술의 향상 전략
결론 및 자기평가
제3장. 진단평가와 심리측정
일반적인 검사의 유형
검사 및 측정의 기초
타당도
신뢰도
검사 해석을 위한 배경지식
중앙집중 경향, 분산 및 정규분포곡선
민감도 및 특이도: 근거기반실제에서의 주요 개념
표준화 검사의 평가 기준
규준참조검사의 잘못된 사용
다문화 고려사항
결론 및 자기평가
제4장. 제한된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의 평가
의사소통자가 되는 과정: 큰 그림 그리기
언어 수준의 파악: 비구어, 단단어, 초기 다단어
원인의 고려
초기 언어 평가가 어려운 이유
언어 평가 시 고려할 모델
언어 평가 시 이론적으로 고려할 사항
초기 의사소통의 평가 및 언어 발달의 예측 변수
특정 영역의 평가: 절차, 고려사항, 연구방향
결론 및 자기평가
제5장. 학령기 및 청소년기 언어장애의 평가
언어 문제가 있는 학생: 고위험군
학령기 및 청소년 언어장애의 선별
주요과목 학업기준의 이해
구문 수준의 아동을 위한 표준화 검사
비표준화 검사
언어 표집: 일반적인 과정
후기 언어 발달: 신생 자료
언어 이해의 검사
분석 패키지를 이용한 구문 평가
화용 평가
기억, 처리 부담, 집행 부담에 대한 이슈
문해력 및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결론 및 자기평가
제6장. 말소리장애의 평가
말소리 산출에 관여하는 요인
조음음운장애 평가의 7개 주요 지식 영역
조음음운 평가 과정의 개요
말소리장애의 선별
전통적 평가 절차
음운 맥락 효과의 검사 절차
조기 중재에서의 말소리 평가
음성 및 음운 목록
변별자질 분석
음운 분석
기타 검사
평가 자료의 통합
중증도와 말 명료도
결론 및 자기평가
제7장. 유창성장애의 평가
감별 진단
말더듬 평가
말더듬 시작 시점에서의 평가
학령기 유창성장애 아동의 평가
유창성장애 성인의 평가
결론 및 자기평가
제8장. 실어증 및 성인 언어장애의 평가
실어증의 특성
사례력
진단 및 공식 평가
감별 진단 및 다른 언어장애
비공식 평가 방법
요약 및 예후 지표
결론 및 자기평가
제9장. 말운동장애의 평가
성인 말실행증
아동기 말실행증
성인 마비말장애
뇌성마비 및 아동 마비말장애
보완대체의사소통의 필요성 평가
결론 및 자기평가
제10장. 성인 삼킴장애 및 소아 섭식·삼킴장애의 평가
성인의 전형적인 삼킴 과정
성인 삼킴장애: 원인 및 평가 목표
성인의 전반적인 병상 평가
성인 대상의 임상 및 기기적 평가
성인의 기능상의 영향 및 삶의 질
소아 섭식 및 삼킴 장애
소아 평가의 목표
소아 삼킴장애의 사례력
구강운동 검사
발달 연령에 따른 평가
평가 척도, 시험적 섭식 관찰, 기기적 분석
결론 및 자기평가
제11장. 후두 음성장애의 평가
음성장애의 특성
음성장애의 진단 과정
지각적·음향학적·공기역학적 평가
특징 분석
시각적 평가
비공식 조사
결론 및 자기평가
제12장. 공명장애의 평가
비정상적 공명의 유형
사례력 조사 및 일반적인 음성 평가
구개열 및 연인두 폐쇄부전 관련 평가
공명장애의 예후
결론 및 자기평가
제13장. 후두암과 무후두 음성장애의 평가
후두암
전체 후두적출술 및 후두적출자
면담 과정
최초 평가 영역
인공후두 발성의 평가
식도 발성의 평가
기관식도 인공장치를 이용한 초기 발성
지속적인 TEP 발성의 평가 및 정교화
예후 지표
결론 및 자기평가
제14장. 진단보고서 및 재무상의 필수사항
보고서 및 양식 선택
쓰기 과정
의료 세팅의 문서를 위한 추가적 세부사항
학교 세팅의 문서를 위한 추가적 세부사항
추적 관찰 및 재평가 보고서
재무상의 필수사항 보고하기
결론 및 자기평가
부록
구강-주변 기관 검사
평가 자료
영유아용 언어평가 면담 프로토콜
초기 다단어 분석을 위한 코딩 용지
초기 다단어 분석을 위한 요약지
제한된 언어의 평가에서 자료의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