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국내외에서 신생아 청각선별검사의 대중화로 선천성 난청의 발견 연령이 낮아지고, 첨단산업화로 소음성 난청의 발현이 많아지며, 인구 형태가 고령화 중심으로 변하여 노인성 난청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난청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청각장애에 대한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청능사 자격검정원에서 시행한 자격시험 응시자는 총 3,000명이 넘고 그중 합격자는 2,000명 정도이다. 이러한 자격을 갖춘 청능사들은 각 분야에서 명실공히 청각장애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며 사회의 한 축을 이루는 전문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청각학 개론』은 청능사들의 입문서로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번 2판도 청각장애 관련 다른 분야 전문가, 청각장애인 및 기타 많은 사람이 청각장애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를 기대한다.
이번 2판은 기존 집필 내용에 수정·보완을 거치고, 최근에 박사 학위를 받은 분들을 저자로 포함하여 청각학의 새로운 경향도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물론 초판의 튼튼한 틀은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제15장 ‘전정 기능의 평가 및 재활’을 새롭게 추가하여 내용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