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유아사회과교육의 성격을 철저히 규명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유아사회과교육의 배경이 되는 학문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하여 그 학문에 기초한 유아사회과교육의 영역을 내용과 방법으로 구분하여 상세히 기술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이 책은 크게 유아사회과교육의 기초, 영역, 설계, 실천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총 13장으로 구성하였다. 기초에서는 사회과교육의 개념과 유아사회과교육의 성격을, 영역에서는 역사교육, 지리교육, 경제교육, 문화교육, 시민교육 등에 대한 내용과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설계에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을 소개하면서 실제 수업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교수학습 목표와 방법, 활동, 평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실천에서는 실제로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수업을 모형에 따른 수업과 주제에 따른 수업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특히 이 책은 유아가 시민성을 기르는 데 필요한 사회과학적 지식과 기술, 태도, 가치 등을 강조함으로써 유아가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새로운 시각으로 유아사회과교육을 바라보면서 기존 유아사회과교육에 관한 책들과 비교할 수 없는 방대한 내용과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이 책은 유아교사가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모형에 따른 수업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유아사회과교육에 대한 명확한 관점을 가지고 성공적으로 수업을 전개하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