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가족을 연구하는 다른 다양한 학문분야와 구별되면서 가족학(Family Studies)과 가족상담 및 치료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관점 중 하나가 가족구성원들의 관계적 측면을 통해 가족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가족의 상호작용(family interaction), 가족역동(family dynamic), 가족기능(family functioning)은 가족관계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적 관점이다. 저자들은 가족체계이론적 관점, 가족발달 관점과 세대 간 관점을 통합하여 집필하였다는 점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가족학자들은 가족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는 체계적, 발달적, 세대 간 관점을 통해 현대 가족이 직면한 가족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이론적 관점을 토대로 시간에 따른 가족의 변화(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변화와 가족의 사망, 이혼, 재혼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안적 발달단계를 포함)과정에서의 개인과 가족의 상호작용 책략, 기능 및 복지를 이해하여야 하는데, 바로 이 책이 이러한 시각으로 저술되었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이 책의 체제가 학습에 매우 효율적이라는 점도 들 수 있다.
이 책은 가족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이론적 관점과 연구결과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가족관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부생들을 위한 가족관계, 가족상담 및 치료 분야, 가족생활교육 등 교과목의 참고자료로 그리고 이들 분야 대학원의 주교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