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최근 들어 보육교사의 인성과 자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인성과 자질을 향상시켜 전문성을 높이고,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보육교사의 자격기준이 강화되었다. 강화된 자격기준에는 이수 교과목의 확장, 대면교육의 의무화, 보육실습의 강화 등이 있다.
많은 보육전문가는 4주 160시간의 보육실습으로는 보육 및 교육 실제를 마스터하기 어렵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자격증을 취득하여 곧바로 보육교사로 임명받아 업무를 수행하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해 왔다. 또한 보육기관에 취원하고 있는 영유아는 0세부터 취학전 연령까지 연령의 범위가 넓어, 단기간의 실습으로는 영유아의 다양한 연령별 특성을 파악하여 보육 및 교육하는 실제적 능력을 습득하기 어렵다. 나아가 사회적 요구인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보육실습을 6주 240시간으로 확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련규정의 변화에 따라 보육실습 초판을 개정해야 했다. 특히 6주 240시간으로 보육실습을 하게 될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 실습을 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한 고민을 담아 2판을 내게 되었다.
한편 영유아를 위한 보육과 교육을 통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유아교육기관과 보육기관에 취원하는 영유아의 공통된 연령인 35세 유아를 위한 누리과정이 제정되어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영아는 이전의 표준보육과정에 따라 보육하고, 유아는 누리과정에 근거하여 교육 및 보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생활주제, 교육과정 영역, 교육내용 기준 등이 바뀌었고, 따라서 이전의 책에서 제시하였던 여러 가지 교육계획안 및 예시 등을 개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