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약 10여 년 전만 해도 유아의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유아교육이 주를 이루었다면, 이제는 유아교육 관련 전문가들뿐 아니라 교육 현장의 교사와 가정에서의 부모 등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유아기 사회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에 뜻을 함께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서는 전인교육, 인성교육, 성품교육 등의 명목으로 유아사회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유아사회성 발달의 근간이 되는 인지적 측면을 간과하거나 유아사회성의 부분적인 측면, 예를 들어 이타성, 도덕성에 치중한 교육을 한다는 한계가 발견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저자들은 유아사회교육과 관련된 이론을 정리하고, 유아사회성 발달의 기본 요소인 정서 인식 및 조절, 자기 및 타인 이해 등 인지적 측면을 포함한 교재를 준비하게 되었다. 또한 유아교육은 실천학문인 바 유아교사들이 이론적인 내용을 유아교육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실제 사례를 풍부하게 담고자 노력하였다.
1부의 1장에서는 유아사회교육의 필요성을 짚어 보고 목적과 내용을 서술하였으며, 2장에서 유아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이론인 유기체론적 관점, 기계론적 관점, 맥락적 관점을 다루었다. 이어서 3장에서 유아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현대의 환경 요인인 가족환경, 교육환경, 매체환경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우리나라 누리과정에 명시된 사회관계영역의 내용들을 살펴보면서 누리과정의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2부인 5장부터 10장에서는 정서 인식 및 조절, 자기 및 타인 이해, 이타성과 친사회적 행동, 도덕성과 집단생활, 성역할과 평등, 반편견 및 문화수용 순서로 각각의 개념 및 발달에 대한 이해와 이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회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성교육의 실제 사례를 11장에 제시하였으며,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아사회교육 평가 방법에 대해 12장에서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