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성범죄자 치료에 경험이 있고 잘 훈련된 능숙한 전문가와 개입에 관계하고 있는 슈퍼바이저들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성범죄자 심리치료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성범죄자에게 좀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자 하는 좋은 삶 모델과 위험성을 관리하는 자기조절 모델을 통합하여, 긍정적이고 목표 지향적이며 강점에 기반을 둔 개입을 토대로 설계되었다. 이 책에서는 긍정심리학과 동기강화 이론에 근거하여 내담자의 참여를 통한 효과적인 성범죄자 치료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평가와 치료 계획에서는 좋은 삶 모델에서의 치료 목표와 범죄과정에서의 자기조절 경로의 탐색을 통해 통합적인 사례 개념화를 제시하고 있다. 치료와 추후지도에서는 개인의 삶과 범죄과정의 개방을 통해 개인에게 잘 짜 맞추어진 치료의 적용방법과 출소 후 지역사회 복귀에서의 사례관리를 설명하고 있다.
국내에서 성범죄자를 치료하고 있는 임상가들을 교육할 때마다, 그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교재가 제한되어 있어 늘 안타까운 마음이었다. 이 책이 성범죄자 치료자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앞서 말했듯이, 이 책은 초보자용 교재라기보다 경험 있는 전문가들을 위한 지침서이기 때문에 이 책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성범죄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이론이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각 영역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 또한 각각의 상황과 여건에 맞게 자신의 전문성을 토대로 창조적으로 적용했을 때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하다. 역자들도 번역을 준비하면서 어떻게 적용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함께 토론하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책을 통해 성범죄자 개입에 책임이 있는 전문가들이 좀 더 효과적인 치료를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