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새로운 세대의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복지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저자들은 이 책을 집필하였다. 그리고 이 책이 현장 전문가들이 자신의 꿈을 창대하게 꿀 수 있도록 현실감 있는 사례를 많이 제시하였으며, 학생들이 관심을 표출할 영역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이 책은 총 4부 14개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인 제1장∼제3장에서는 개관을 다루었는데, 제1장에서는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을, 제2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를 그리고 제3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 이론을 소개하였다. 지역사회복지의 과정과 전문적인 실천방법은 제2부와 제3부에서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 모델을, 제5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을, 제6장에서는 지역사회조직화를, 제7장에서는 지역사회자원개발을, 제8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계획과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제9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교육을, 제10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그리고 제11장에서는 사례관리를 서술하였다. 제4부인 제12장∼제14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 실천영역을 성격이 유사한 영역끼리 통합하여 제시하였다. 제12장 실천영역 1에서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사협회를 기술하였고, 제13장 실천영역 2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자활센터를 설명하였으며, 제14장 실천영역 3에서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자원봉사센터, 새로운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기존의 지역사회복지 개론서와는 달리 지역사회복지 실천방법에 중점을 두고 기술하고자 한 점과 실천영역에 대한 설명은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할 때 새롭게 요구되는 사회적 기업이나 생활협동조합과 같은 경제 공동체에 대한 부분을 추가한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