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우리나라 사회교육사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각 시대별 특질과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특질이 무엇인가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 사회교육사를 이해함은 물론 사회교육학의 이론과 실천에 도움을 얻기 위해 준비한 책으로필자는 그저 사회교육이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정체성을 인정받으며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사상이란 본래 사람이 갖고 제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필자는 『한국 사회교육사상사』를 사회교육 관련 주요 인물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 책에서 다룬 사회교육사상가들은 우리나라 역사상 구한말부터 21세기 초입까지의 120여 년에 걸쳐 교육학계와 역사학계 등에서 이미 상당한 검증을 받았으며, 더 나아가 오늘날의 사회교육학 연구 주제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인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룬 10인의 사회교육사상가 중에는 사회교육자라기보다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시민운동가 등으로 더 알려져 있는 이들도 있다. 그러한 준거로 볼 때 인물의 지명도에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정치, 사회적으로 이른바 세속적인 면에서 보다 지명도가 높다고 해서 사회교육적으로 더 위대하다고는 볼 수 없고, 사회교육적으로 더 의미가 있다고 해서 사회적으로 더 유명한 것은 아니다. 사회와 교육은 별개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각 사상가들의 생애와 사회교육 활동을 전반적으로 체제에 맞추어 각 인물들의 사회교육사상을 추출하고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마지막 장에서 각 사회교육사상가들의 특징과 관계를 일관성 있게 비교·분석할 수 있었다. 이 책의 목적은 한국 사회교육사상가들의 생애와 사상을 시대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이해하는 것도 있지만 오늘날 현대 사회교육학의 이론과 실천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도 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교육사상가별 연구내용의 앞뒤로 연구대상 선정의 근거와 의의, 사회교육사상 분석 주제, 한국사 시대 구분 방식 등을 제시한 서장과 모든 사상가들을 종합 정리하여 주제별, 시대별 특질 및 한국 사회교육학에 주는 의미 등을 종합·정리한 결론 장을 배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