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IMF 경제 위기 이후 심화되는 양극화와 저출산·고령화가 한국 사회를 크게 변화시켰다. 이 같은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등을 제정하면서 사회복지 관련법과 제도 역시 많이 발전하였다. 한편, 2014년 2월 서울 송파구에서 생활고로 세 모녀가 동반자살하는 등 도움이 절실한 계층이 복지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우리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이 같은 복지사각지대의 해소 방안으로 최근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전면개정 등이 이어졌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기초연금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기존의 「영유아보육법」도 개정되었다. 이러한 사회복지법제의 제·개정은 우리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제도적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롭게 제·개정된 사회복지법의 내용이 많아지면서 기존의 책으로는 사회복지법을 강의하고 학습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서둘러 이번 개정 작업을 하게 되었다.
개정의 방향으로 첫째, 최신 법들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법 명칭 아래에 최신 개정일과 시행일을 명기하였다. 둘째, 각종 사회복지 관련법을 최대한 설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1급 사회복지사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6개의 사회복지법률을 가급적 모두 담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번 5판에서는 기존 4판의 저자에 광주대학교 정희경 교수가 추가로 참여하였다. 이 책의 집필진은 사회복지법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사회복지학, 법학, 행정학, 사회학 등 다양한 전공 영역의 박사로 구성되었으며, 각 저자의 전공 분야와 관심 영역에 따라 집필 내용을 분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