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상담이론은 공동체 의식을 강조한다. 우리 인간은 사회적 맥락에서 태어나고 사회적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회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사회적 삶을 잘 살아가야 한다. 우리의 정신은 공동체 의식을 지향할 때 건강해진다. 무한 경쟁을 부추기는 오늘날의 사회에서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아들러 상담이론이 우리에게 주는 제안은 유익하다. 아들러 상담이론이 제안하는 바에 따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공동체 삶을 살아감으로써 오늘날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자살, 학교폭력, 빈부격차, 지역갈등, 계층갈등 등의 문제를 완화시키고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The Psychology of Courage』을 꼼꼼히 읽어 가면서 많은 감동을 받고 공동체 의식에 기초한 삶이 중요함을 다시 확신하게 되었다. 아들러는 공동체 의식 대신 ‘사회적 관심’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아들러 상담학파는 특히 ‘불완전할 용기’를 중요하게 여긴다. 불완전할 용기를 통하여, 자신이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감당하면서 공동체의 한 부분으로서 협력하고 공헌하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용기의 심리학』은 우리가 사회적 존재로서 사회적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향과 지침,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용기를 기르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독자들이 아들러 상담 이론의 진수를 맛보면서 이에 기초하여 자신의 삶을 잘 살아가기 위한 지침들을 발견하고 실행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