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교정복지의 기초
제1장 교정복지의 의의
1. 교정복지의 개념
2. 교정복지의 필요성
3. 교정복지의 지도원리
4. 교정복지와 인접 학문
제2장 교정복지의 역사
1. 범죄인처우의 시대적 변화 1
2. 우리나라 범죄인처우의 발달사
3. 교정복지의 역사적 전개
제3장 범죄, 범죄인 그리고 범죄인처우
1. 범죄에 대한 이해
2. 범죄인에 대한 이해
3. 범죄인처우에 대한 이해
제2부 교정복지와 범죄원인론
제4장 범죄이론의 유용성과 신고전주의 이론
1. 범죄이론의 유용성
2. 신고전주의 이론
제5장 교정복지와 개인중심 범죄원인론
1. 생물학적 범죄원인론
2.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제6장 교정복지와 사회중심 범죄원인론
1. 사회과정이론
2. 사회구조이론
3. 사회갈등이론
4. 최근의 범죄이론
제3부 교정복지의 법적 체계와 현장
제7장 형사사법체계의 이해
1. 형사절차의 원칙과 개관
2. 형사절차와 교정복지
3. 형사제재와 범죄인처우
제8장 보호관찰제도와 교정복지
1. 보호관찰의 연혁, 의의 및 조직
2. 보호관찰의 현황
3. 보호관찰의 실시방법
4. 보호관찰과 교정복지
제9장 교정제도와 교정복지
1. 성인 교정시설의 처우와 교정복지
2. 소년교도소의 처우와 교정복지
제10장 치료감호 및 소년보호제도와 교정복지
1. 치료감호제도와 교정복지
2. 소년보호제도와 교정복지
제4부 교정복지의 실천기술
제11장 교정복지실천의 이론과 기본기술
1. 교정복지실천의 이론적 배경
2. 교정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원조기술
제12장 교정복지 실천과정과 기술
1. 실천과정의 이해와 인테이크 단계의 기술
2. 사정 및 계획 단계의 실천기술
3. 개입단계의 실천기술
4. 평가 및 종결 단계의 실천기술
제13장 범죄유형별 교정복지 실천기술
1. 성범죄 대상 실천기술
2. 약물범죄 대상 실천기술
3. 일반폭력범죄 대상 실천기술
4. 학교폭력 대상 실천기술
제5부 교정복지의 동향과 발전과제
제14장 교정복지의 최근 동향
1. 회복적 사법과 교정복지
2.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
3. 형사사법제도의 민영화
제15장 교정복지의 발전과제: ‘사법복지’로의 전환
1. 사법복지의 개념과 역사
2. 사법복지실천의 현황과 향후 전망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