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개괄 조사
제1장 연극치료 분야의 진단평가 역사
진단평가에 관심이 많았던 시대
연극치료 분야에 있어서 진단평가 역사의 개괄
모레노와 군전략사무국(OSS): 역할연기 진단평가의 초기 실험
결 론
제2장 연극치료 진단평가의 개념과 원리
진단평가의 목적
과학적 방법
수량화
신뢰도
타당성
삶의 만족도, 증후군, 그리고 기능화
방법론
극적인 행위를 언어화하기
중요한 문제는 무엇인가?
결 론
제3장 연극치료 진단평가에 있어서 예술의 위상
각 장의 개괄
비교 분석
결 론
제2부 개별적 연극치료 진단평가
제4장 역할연기진단검사
역사와 배경
검사 절차의 발달
임상적 진단평가
연구의 적용
사 례
앞으로의 방향
제5장 치유적 역할 캐스팅: 치료적 공연에서의 진단평가
연극치료에서의 역할, 치료적 공연, 그리고 삶
배역 선정과 진단평가
치료적 공연을 위한 모델의 발전
진단평가 연구와 치료적 공연의 접점
사례 연구
결 론
부록 A
제6장 여섯 조각 이야기 만들기의 재고: 7단계의 진단평가와 임상적 진단평가
방법의 기원
6PSM을 사용한 7단계의 진단평가
사 례
임상 진단을 받은 참여자의 6PSM
6PSM-C의 검증
6PSM의 실제
결 론
제7장 역할 이론을 통한 진단평가
역할 이론
역할 이론을 통한 진단평가의 개발
결 론
제8장 체현-투사-역할을 통한 연극치료 진단평가
초기의 영향
진단평가에 대한 EPR의 적용
신경-극적-놀이
결 론
제9장 6열쇠 모델-통합 진단평가 접근법
첫째 열쇠: 통로
둘째 열쇠: 특성
셋째 열쇠: 인물과 역할
넷째 열쇠: 내용-플롯, 주제 그리고 갈등
다섯째 열쇠: 극적 현실에 대한 반응
여섯째 열쇠: 메타 현실-명시되지 않은 숨은 의미
사례 연구-사이먼과의 4회기
후속 조치
사이먼의 사례를 마치며
결 론
제10장 심리학적 가계도, 스펙토그램, 그리고 역할-전환의 진단평가
진단평가 워밍업
텔레와 잠재적 관계성
치료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준비상태
적극적 청취
참여자의 인생사와 사회적 네트워크
결 론
제11장 네덜란드 연극 관찰 기법
역 사
이론적 배경
기 법
연극 관찰 점검표
기록 문서
결 론
제12장 자기와 공간 그리고 타자를 진단평가하기: 네덜란드-벨기에적인 연극치료 진단평가 접근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연극치료
연극치료 진단평가
연극치료 진단평가에서의 위험요인과 장애물
통합적 진단평가 모델
결 론
제13장 청소년의 목소리 회복을 위한 연극치료 진단평가
연극치료 진단평가
종합적으로 사용한 사례
결 론
제14장 성장을 위한 리허설을 이용한 커플치료의 대인관계 기능 진단평가
회기 구성 방식
커플치료에서의 진단평가
앞으로의 연구
RfG 상연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한 평가
결 론
제15장 산후우울증 여성을 위한 표준화와 개별화의 혼합 진단 접근법
영국의 국가 건강 정책
사례 연구-엄마와의 문제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