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크게 네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우선 앞부분에서는 성 심리치료의 개괄과 서론을 시작으로 성 심리치료의 이론적 접근을 점검하였고, 상담의 현장에서 성문제를 어떻게 점검하고 평가할 것인가, 전반적인 성문제 상담 및 치료의 계획과 중재는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다음은 발달 단계를 고려한 대상자에 따른 성 심리치료에 초점을 두었다. 즉, 아동 및 청소년의 성상담 개입, 부부와 커플의 성상담과 심리치료 과정, 그리고 노인의 성문제 또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어 이들을 위한 성상담에 관해 다루었다. 세 번째 부분은 성적 소수자로서 동성애에 대한 이해와 동성애 관련 문제를 호소하는 이들을 어떻게 도울지, 그리고 장애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을 점검하고 장애 유형별 성적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중재할 것인지, 이상 성행동 및 성중독의 문제는 어떻게 개입할 것인지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성폭력의 피해 및 가해 문제의 심각성이 사회적이고 국가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이해 및 심리치료의 과정을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