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장애의 개념화
1 사회적 접근의 계보
서 론
원년 만들기
의료모델의 해체
사회맥락적 접근의 선구자
탈시설화와 정상화
소수집단모델
북유럽의 관계모델
결 론
2 사회모델에 대한 비판
서 론
장애에 대한 사회모델의 정치적 위험
불변의 사회모델
손상과 장애의 구분
손상의 중요성
무장애 세상의 한계
무장애 유토피아의 문제점
결 론
3 장애: 복합적 상호작용
상호작용으로서의 장애
손상의 편재성
결 론
4 꼬리표와 견장: 장애 정체성의 정치
서 론
꼬리표와 견장
장애인으로 동일시하기
장애운동은 대표성을 가지는가
장애 정체성에 대한 도전
정체성의 정치 이후
제2부 장애와 생명윤리
5 산전 진단의 문제
산전 진단은 우생학인가
산전 진단은 차별적인 것인가
손상을 예방하는 것은 언제나 잘못인가
태아가 손상을 입었을 때 임신을 종결하는 것은 잘못인가
손상 입은 태아에 대한 선택적 종결은 살아있는 장애인에게 상처를 주는 일인가
손상 입은 임신을 진단하고 종결해야 할 의무가 있는가
산전 진단은 진정 선택인가
결 론
6 고지가 바로 저긴데: 치료(cure)의 문제
치료에 대한 장애운동
치료의 원칙
치료의 실제
치료에 대한 문화적 표상
판단이 어려운 경
결 론
7 생명 종결의 자율성
자살원조와 장애권리 측의 반론
원조 받는 자살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율성
자살원조에 대한 실용적인 주장
「자살원조 법」에서의 안전판
결 론
제3부 장애의 사회적 관계
8 돌봄, 지원, 그리고 보조
돌봄의 복잡성
전통적인 돌봄과 그 문제점
자립생활과 그 한계
여성주의자의 돌봄의 원리와 그 실용성
복잡한 결합과 결론
9 장애권리와 자선의 미래
서 론
상징으로서의 자선
제공자로서의 자선
조직으로서의 자선
비판에 대한 평가
자선 없이 살아가기
결 론
10 사랑, 우정, 친밀성
서 론
우정의 중요성
장애인과 고립
지역공동체의 쇠락과 연계를 위한 투쟁
장애, 우정, 그리고 사회적 장벽
사회적 상호작용의 성취
고립감과 외로움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결 론
11 장애의 세상에서 비장애인의 역할
부 모
돌봄 제공자
전문가
지원 인력
연구자
결 론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