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특수교육의 세부 분야 중에서 ‘청각장애아동교육’ 영역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지만, 새로운 책이나 연구물이 많이 쏟아지는 분야는 아니다. 그렇지만 교육의 현장은 정보화시대에 맞게 신속하게 변해 가고 있다. 집필진은 최근의 내용과 실제적 적용에 초점을 둔 청각장애아동교육 교재의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집필을 계획하였다.
이 책은 예비교사가 청각장애아동을 어떻게 이해하고 교육해야 하는지를 다루고자 하였다. 1부에서는 청각장애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내용을 담았다. 1장 ‘청각장애의 정의 및 분류’는 유은정, 2장 ‘청각생리와 청각장애’와 3장 ‘보청기와 인공와우’는 백무진, 4장 ‘청각장애아동 심리’는 안성우가 집필하였다. 2부에서는 청각장애아동교육의 핵심주제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5장 ‘구어교육’은 허민정, 6장 ‘수화언어교육’은 최상배가 집필하였는데, 조기교육에 대한 내용을 각각 포함하여 설명하였다. 7장 ‘통합교육’과 8장 ‘청각·중복장애아교육’은 유은정, 9장 ‘전환교육’은 이광렬이 맡아서 최근의 내용과 자료를 담았다. 3부 청각장애아동의 교과교육에서는 과학과 영어교과를 새롭게 첨가하여 교육의 실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10장 ‘청각장애교육 교육과정’과 11장 ‘국어과 교수’는 서중현, 12장 ‘수학과 교수’는 이광렬, 13장 ‘사회과 교수’는 최상배, 14장 ‘과학과 교수’는 이광렬, 15장 ‘영어과 교수’는 서유경이 맡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용기출에서 많이 다루게 되는 핵심 주제를 해당 장의 뒷부분에 수록하여 예비교사가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