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현장에 있어 보면 영유아 과학교육 이론과 실제를 연결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을 알게 된다. 자칫 잘못하면 마치 과학교육의 목표가 어떤 정보나 지식 또는 개념을 획득하는 것인 양 주입식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영유아의 과학적 개념과 기술의 발달수준을 반영하지 못한 채 교사 주도의 과학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아찔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사실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활동은 어떤 정보나 지식 또는 개념을 획득하는 데 중점을 두기보다 그 결과에 도달하기까지의 탐구와 사고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영유아와 함께 생활하는 교사와 성인은 영유아기의 과학적 개념 발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그 발달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여 발달에 적합한 환경을 구성해 주는 것이 요구된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영유아 과학교육활동에 대한 이론적 개론을 정리하였는데, 영유아 과학교육의 개념 및 특성, 영유아 과학교육활동의 목표 및 내용, 영유아 과학교육활동의 교수학습 방법, 영유아 과학교육의 평가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다. 제2부는 주제탐구표현활동의 특성을 다룬 장으로, 주제탐구표현활동의 개요, 실시, 구조적 특성, 효과 및 의의를 제시하였다. 제3부는 서울대학교생활과학대학어린이집에서 실제로 실시된 주제탐구표현활동의 연령별 사례를 물체와 물질, 생명체와 자연환경, 자연현상, 도구와 기계 영역으로 제시하여 실제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영유아 과학교육활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행력을 높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