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 도덕 판단력, 행동, 문화 그리고 교육
저자 : James R. Rest 편 | 역자 : 문용린,유경재,원현주,이지혜
페이지 : 28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3,000원
  • 978-89-5891-565-2
  • 2008-01-1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옳고 그름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현재의 정치, 사회적 논쟁은 방법의 선택과 시간의 적절성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무엇이 옳고 무엇이 정당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차이점을 주제로 삼는다. 따라서 사람들의 도덕적 감수성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그리고 도덕적 직관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 책은 도덕판단력 검사(DIT)를 활용하여 수행된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다. DIT관련 연구는 도덕판단력에 관한 가장 방대하고 다양한 정보체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대한 연구물들의 개별 보고서들을 통합하고 중복되는 결과를 요약함으로써 이론적인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에 이 책의 의의가 있다.

목차

제1장 도덕심리 개관
도덕의 영역
4-구성요소모형
구성요소 1
구성요소 2
구성요소 3
구성요소 4: 수행력과 자아강도
도덕행위의 4-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작용
연구 길잡이로서 도덕행위의 4-구성요소모형
실생활 장면에서의 구성요소 1에 대한 연구

제2장 삶의 경험과 발달경로
도덕 판단력에서의 연령 경향성
발달의 원인이 무엇인가: 정규교육
새로운 접근
고등학교 시기의 생활경험 양식
대학 재학 시기의 생활경험 양식
성인 초기의 생활경험 양식
결 론

제3장 교육 프로그램과 적용
표집의 특성들
메타분석 결과들
일반적인 처치효과
프로그램 종류의 효과
콜버그 이론에 대한 학습의 효과
피험자의 연령 효과
처치기간의 효과
‘좋은’연구와 ‘빈약한’ 연구의 효과
도덕교육 프로그램과 그 효과에 대한 일반적 논의

제4장 문화, 성, 종교와 도덕성
DIT를 이용한 비교 문화 연구
결과 총평
문화 차의 영향
연령 및 교육에 따른 추이
비교 문화 연구의 결론
성 차
종교와 도덕 판단
종교단체 소속
종교적 이데올로기(진보주의적-보수주의적 신앙)
종교에서의 내적-외적 동기
종교교육
종교에 대한 지식
종교적인 척도들을 포함한 연구들
도덕 판단력과 종교에 대한 결론
대학을 고려한 일반적 결론

제5장 도덕 판단, 행동, 의사결정 그리고 태도
도덕 판단은 진보주의/보수주의 태도와 일치하는가
행동과 의사결정에서 정의 개념의 역할에 대한 연구 접근

제6장 요 약
잘 수행된 연구결과들
이론의 발전
새로운 연구 방향

부 록
A. DIT의 역사
B. K-DIT 소개
C. K-DIT 검사지
D. 도덕심리연구실 소개

저자 소개

<b>▶ 로버트 바넷(Robert Barnett)</b>

1985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미국 MDA 리더십 컨설팅회사의 매니지 파트너로 일하고 있다.



<b>▶ 뮤리엘 비보(Muriel Bebeau)</b>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교육심리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미네소타대학교 치과대학 예방과학교실의 부교수이자 생명윤리센터의 겸임교수다. 또한 그녀는 같은 대학 내 도덕발달연구센터의 소장이다.



<b>▶ 데보라 디머(Deborah Deemer)</b>

1985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생활경험과 도덕 판단력 발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최근까지 미국 노던 아이오와대학교 학교심리학과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b>▶ 아이린 겟츠(Irene Getz)</b>

1985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도덕적, 종교적 이데올로기와 인권과의 관계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네소타 소재의 아메리칸 루터 교회에서 실무를 담당한 바 있다.



<b>▶ 문용린(Yong Lin Moon)</b>

1986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도덕 판단력 측정도구인 DIT검사문항에서의 성차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에서 대통령직속 교육개혁위원회 상임위원과 교육부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b>▶ 제임스 레스트(James R. Rest)</b>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2년 미네소타대학교 내에 도덕발달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을 역임하였으며 도덕 판단력 검사(DIT: Defining Issue Test)를 개발하였다. 1999년 타계하기까지 그는 도덕성 발달에 관한 100여 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여 도덕심리학 연구에 큰 기여를 하였다.



<b>▶ 제임스 스피켈마이어(James Spickelmier)</b>

1983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대학경험과 도덕 판단력 발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미네소타 소재 베델대학교의 Associate Vice President로 재직 중이다.



<b>▶ 스티븐 토마(Stephen J. Thoma)</b>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교육심리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앨라배마대학교 인간발달 및 가족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b>▶ 조셉 볼커(Joseph Volker)</b>

1984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상담경험, 도덕 판단력, 상담실무에서의 과정의 인식과 도덕적 민감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미국 MDA 리더십 컨설팅 주식회사의 Principal Consultant and Master Coach로 재직 중이다.



<b>▶ 제임스 레스트(James R. Rest)</b>

도덕 추론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가장 널리 알려진 도덕 판단력 검사(DIT: Defining Issue Test)를 개발한 레스트 교수는 도덕심리 연구에 평생을 바친 교육자다. 그는 시카고대학교에서 역사와 철학을 전공한 후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친 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며1982년 미네소타대학교 내에 도덕발달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을 역임하였다. 1970년도부터 교육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1999년 타계하기까지 그는 도덕성 발달에 관한 100여 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여 도덕심리학 연구에 큰 기여를 하였다.

역자 소개

<b>▶ 문용린</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및 동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교육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도덕연구실장과 자문교수를 거쳐 대통령 직속 교육개혁위원회 상임위원과 교육부장관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도덕성 연구와 관련된 주요 저서로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역), 도덕 심리학(역),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역), Good Work(역), 윤리경영시대의 전문직업인의 윤리발달과 교육(역) 외 다수가 있다.



<b>▶ 유경재</b>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상위표상과 분배정의추론의 관계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서울대학교 BK사업단 소속 연구원으로 재직한 바 있으며, 현재는 미국에서 ‘아동의 교육받지 않은 마음’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 중이다.



<b>▶ 원현주</b>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도덕적 자아와 도덕 행동 선택에 관한 연구-Blasi의 도덕적 자아를 중심으로-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방송통신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육심리학 강의를 하며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 중이다.



<b>▶ 이지혜</b>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도덕민감성 척도 개발 및 특성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교육심리학 강의를 하며 ‘의료인의 전문직업성’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 중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BK사업단 소속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알림

X

알림

X